티스토리 뷰

올해에는 꼭 컴퓨터활용능력 1급을 따기위해, 공부할겸 블로그에 직접 타이핑 하여 업로드 하기로 했습니다.

직접 보고 타이핑하면 눈으로만 보는 것보다 머리에 조금이라도 들어 오겠지요??

실기는 나라배움카드?를 신청하여 오늘 받았고, 근처에 있는 컴퓨터 학원 주말 반으로 찾아서 신청 할 계획입니다.

올해에는 꼭꼭 컴퓨터활용능력 1급을 딸것입니다.!! 화이팅!! 


중앙처리장치(CPU)

중앙처리장치는 제어장치, 연산장치, 주기억장치로 구성된다.


제어장치.

주기억장치에서 읽어 들인 명령어를 해독하여 해당하는 장치에게 제어신호를 보내 정확하게 수행하도록 지시한다.

프로그램 카운터(PC) : 다음 번에 실행할 명령어의 번지를 기억하는 레지스터.

명령 레지스터(IR) : 현재 실행중인 명령의 내용을 기억하는 레지스터.

명령 해독기(Decoder) : 명령 레지스터에 있는 명령어를 해족하는 회로.

부호기(Encoder) : 해독된 명령에 따라 각 장치로 보낼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회로.


연산장치

제어장치의 명령에 따라 실제로 연산을 수행하는 장치로, 연산장치가 수행하는 연산에는 산술 연산, 논리 연산, 관계 연산, 이동(Shift)등이 있다.

가산기(Adder) : 2진수의 덧셈을 수행하는 회로.

보수기(Complementor) : 뺄셈을 위해 입력된 값을 보수로 변환하는 회로.

누산기(Accumulator) : 연산 결과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레지스터.

데이터 레지스터 : 연산에 사용될 데이터를 기억하는 레지스터


중앙처리장치의 성능을 나타내는 단위.

-MIPS : 1초당 명령 실행 수 / 1백만.

-FLOPS : 1초당 부동 소수점 연산 횟수.

-클럭 속도(㎐) : CPU 동작 클럭 주파수로, 1㎐는 1초에 1번 주기가 반복됨을 의미함


레지스터(Register)

-CPU 내부에서 처리할 명령어나 연산의 중간 값 등을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기억장치 입니다.

-일반적으로 플립플롭(Flip-Flop)이나 래치(Latch)등을 연결하여 구성합니다.

-메모리 중에서도 액세스 속도가 가장 빠릅니다.


ROM/RAM

ROM

ROM은 전훤이 꺼져도 기억된 내용이 지워지지 않는 비휘발성 메모리로 기억된 내용을 읽을 수만 있고, 입-출력 시스템, 글자 폰트, 자가 진단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Mask ROM : 제조 과정에서 미리 내용을 기억시킨 ROM으로, 사용자가 임의로 수정할 수 없음.

PROM : 특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한 번만 기록할 수 있으며, 이후엔 읽기만 가능한 ROM.

EPROM : 지외선을 이용하여 기록된 내용을 여러 번 수정하거나 새로운 내용을 기록할 수 있는 ROM.

EEPROM : 전기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기록된 내용을 여러 번 수정하거나 새로운 내용을 기록할 수 있는 ROM.


RAM

RAM은 전원이 꺼지면 기억된 내용이 모두 사라지는 휘발성 메모리로, 읽고 쓰기가 자유롭기 때문에 주로 사용중인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저장한다.

DRAM과 SRAM의 비교

구분 

동적 램(DRAM) 

정적 램(SRAM) 

구성 소자 

콘덴서 

플립플롭 

재충전 여부 

필요함 

필요하지 않음 

전력 소모 

적음 

많음 

접근 속도 

느림 

빠름 

직접도(밀도) 

높음 

낮음 

가격 

저가 

고가 

용도 

주기억장치 

캐시 메모리 

RAM 덤프

RAM의 내부 기억 장치로부터 프린터 등의 외부 장치로 기억된 내용의 일부 또는 전부를 출력시키는 것입니다.


오늘도 고생하셨습니다.

댓글
글 보관함
최근에 올라온 글
«   2025/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