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기타 메모리

캐시 메모리(Cache Memory)

-CPU와 주기억장치 사이에서 컴퓨터의 처리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한것.

-주로 접근 속도가 빠른 정적 램(SRAM)을 사용하며, 주기억장치에 비해 용량이 적다.

-캐시 적중률(Cache Hit Ratio)이 높을 수록 시스템의 전체적인 속도가 향상됨.

-LI 캐시는 CPU 내부에, L2 캐시는 메인보드에 내장되어 있었으나 펜티엄 프로부터는 모두 CPU 내부에 포함됨.


가상 메모리(Virtual Memory) : 보조기억장치(하드디스크)의 일부를 주기억장치처럼 사용하는 메모리 기법으로, 주기억장치보다 큰 프로그램을 불러와 실행해야 할 때 유용하게 사용됨.

버퍼 메모리(Buffer Memory) : 두 장치 간에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 속도 차이를 해결하기 위한 임시 저장 공간.

연관(연상) 메모리(Associative Memory) : 저장된 내용의 일부를 이용하여 기억장치에 접근하여 데이터를 읽어 오는 장치.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 EEPROM의 일종으로, MP3 플레이어, 개인용 정보 단말기, 휴대전화, 디지털 카메라 등에 사용.


표시장치 관련 용어

픽셀(Pixel,화소) : 모니터 화면을 구성하는 가장 작은 단위.

해상도(Resolution) : 모니터 등의 출력장치가 내용을 얼마나 선명하게 표현할 수 있느냐를 나타내는 단위로, 픽셀(Pixel)의 수에 따라 결정됨.

모니터의 크기 : 모니터의 화면 크기는 대각선의 길이를 센티미터(cm) 단위로 표시함.

점 간격(Dot Pitch) : 픽셀들 사이의 공간을 나타내는 것으로 간격이 가까울수록 해상도가 높음.

재생률(Refresh Rate) : 픽셀들이 밝게 빛나는 것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1초당 재출전 횟수로, 재생률이 높을수록 모니터의 깜박임이 줄어듦.


인터럽트/DMA/채널

인터럽트

프로그램 실행 도중 예기치 않은 상황이 발생한 경우 현재 작업을 일시 중단하고 발생된 상황을 우선 처리한 후 실행중인 작업으로 복귀하여 계속 처리하는 것.

외부 인터럽트 : 입'출력장치, 타이밍 장치, 전원 등의 외부적인 요인에 의해 발생.

내부 인터럽트 : 잘못된 명령이나 데이터를 사용할 때 발생하며, 트랩(Trap)이라고도 부름.

소프트웨어 인터럽트 : 프로그램 처리중 명령의 요청에 의해 발생.

IRQ(인터럽트 요청 값)

컴퓨터를 구성하는 각 장치들은 CPU에게 인터럽트를 요청할 때 CPU가 각 장치를 구분할 수 있는 고유한 IRQ를 가지고 있으며 만약 IRQ가 동일한 하드웨어가 있으면 충돌이 발생하며 두 장치 모두 사용할 수 없게 됩니다.


DMA(직접 메모리 접근)

중앙처리장치(CPU)의 간섭없이 입'출력장치와 메모리(주기억장치)가 직접 데이터를 주고받는 것을 말한다.


채널

주변장치에 대한 제어 권한을 중앙처리장치(CPU)로부터 넘겨받아 CPU 대신 입'출력을 관리하는 것으로, CPU와 입'출력장치 사이의 속도 차이로 인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사용된다.

입출력 작업이 끝나면 CPU에게 인터럽트 신호를 보낸다.

고속 입'출력장치를 제어하는 셀렉터(Selector) 채널, 저속 입'출력장치를 제어하는 멀티플랙서(Multiplexer) 채널, 두 기능이 혼합된 블록 멀티플랙서(Block Multiplexer) 채널 등이 있다.



오늘도 고생했어요. 내일도 파이팅 아자아자!!

댓글
글 보관함
최근에 올라온 글
«   2025/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