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디스크 검사
하드디스크나 플로피디스크에 논리적 혹은 물리적으로 손상이 있는지 검사하고 , 복구 가능한 에러가 있으면 이를 복구해 주는 기능이다.
디스크 검사가 시작되면 사용자는 다른 작업을 하지 않는 것이 좋다.
네트워크 드라이프, CD-ROM 드라이브는 디스크 검사를 수행할 수 없다.
디스크 검사는 시스템의 성능 향상을 위해 정기적으로 실행하는 것이 좋다.
실행 : 내 컴퓨터나 Windows 탐색기에서 해당 드라이브의 바로 가기 메뉴 중[속성]을 선택한 후 '도구' 탭에서 <지금 검사>를 클릭한다.
'파일 시스템 오류 자동 수정' 옵션을 체크하면 파일과 폴더의 오류가 발견되었을 때 사용자에게 오류 수정 여부를 묻지 않고 곧바로 수정한다.
'불량 섹터 검사 및 복구 시도' 옵션을 체크하면 파일과 폴더의 오류뿐만 아니라 디스크 표면을 검사하여 디스크에 생긴 물리적인 오류도 찾아준다.
레지스트리
컴퓨터에 설치된 모든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실행 정보를 한군데 모아 관리하는 계층적인 데이터베이스이다.
레지스트리는 각 사용자의 프로필, 그리고 IRQ, I/O 주소, DMA 등과 같은 하드웨어 자원, 설치된 프로그램 및 속성 정보 같은 소프트웨어 자원을 관리한다.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사용하여 레지스트리를 잘못 변경하면 시스템을 손상시킬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모두 백업한 후 레지스트리를 변경하는 것이 좋다.
레지스트리의 내용은 기계어로 되어 있어 일반 문서 편집기로 확인할 수 없으며, 수정하려면 REGEDIT와 같은 레지스트리 편집 프로그램을 사용해야 한다.
레지스트리 관련 내용은 C:/Windows/System32/config 폴더에 여러 개의 파일로 저장된다.
사용자 프로필과 관련된 부분은'ntuser.dat' 파일에 저장되는데, 이 파일은 'C:/Documents and Settings'의 하위 폴더인 각 사용자 계정 폴더에 하나씩 저장된다.
레지스트리는 시스템과 사용자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가지고 있으므로 레지스트리에 문제가 있을 경우 시스템이 부팅되지 않을 수도 있다.
레지스트리의 변경으로 인해 컴퓨터 시스템에 이상이 있을 경우 컴퓨터를 성공적으로 시작했을 때 사용한 레지스트리로 복원할 수 있다.
레지스트리 정보는 Windows 가 작동하는 동안 지속적으로 참조된다.
레지스트리 편집기 실행 : 시작-> 실행 을 선택한 후 입력 난에 'Regedit'를 입력하고 엔터를 누른다.
시스템 관리 및 유지 보수
시스템복원
컴퓨터가 최적의 상태일 때를 복원 지점으로 설정하여 기억해 놓은 후 컴퓨터 시스템에 문제가 생겼을 경우 복원 지점을 이용하여 정상적인 상태로 만드는 기능.
응용 프로그램에서 작성한 문서, 전자 메일, 웹에서 열어본 페이지 목록, 즐겨찾기 목록, 휴지통, 내 문서 등에 저장된 데이터는 송상시키지 않고 복원 지점으로 시스템의 상태를 되돌림.
실행 : 시작 -> 모든 프로그램 -> 보조프로그램-> 시스템 도구-> 시스템 복원
Windows 작업 관리자
컴퓨터에서 현재 실행중인 프로그램과 프로세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응답하지 않는 프로그램을 종료할 때 사용함.
현재 실행중인 프로세스에 대해 CPU 및 메모리 사용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표시하며, 사용 현황을 막대 그래프와 곡선 그래프로 표시함.
시스템 종료, 다시 시작, 로그 오프를 할 수 있음.
실행 : 작업 표시줄의 바로 가기 메뉴 중'작업 관리자'를 선택하거나 Ctrl + Alt + Delete 또는 Ctrl + Shift + Esc를 누름.
보안 센터
Windows 방화벽, 바이러스 백신, 자동 업데이트를 이용하여 컴퓨터를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보안 설정 및 관리를 도와줌.
실행 : 시작 -> 제어판 -> 보안센터 를 더블클릭 하거나 시작-> 모든 프로그램 -> 보조 프로그램-> 시스템 도구 -> 보안 센터 선택.
Windows 방화벽
다른 컴퓨터에서 사용자 컴퓨터로 들어오는 정보를 제한하여 사용자가 컴퓨터를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도와주며, 사용자의 컴퓨터를 무단으로 접근하려는 사람이나 바이러스 및 웜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에 대한 방어막을 제공함.
Windows 방화벽 사용 시 일부 프로그램에 대해서만 '예외'를 지정하여 예외로 지정된 프로그램은 방화벽을 통과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음.
방화벽을 통과한 것과 통과하지 모한 것(손실된 패킷)의 정보를 로그(Log)파일에 저장되도록 설정할 수 있음.
실행 : 시작 -> 제어판 -> Windows 방화벽 을 더블 클릭 함.
'공부_STUDY > 컴퓨터활용능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컴퓨터활용능력_보안 위협의 구체적인 형태/방화벽/프록시서버 (0) | 2018.01.22 |
---|---|
컴퓨터활용능력_웹 프로그래밍 언어/통신망의 종류 (0) | 2018.01.21 |
컴퓨터활용능력_마이크로프로세서/포트/바이오스 (0) | 2018.01.19 |
컴퓨터활용능력_기타메모리/표시장치 관련용어/인터럽트/DMA/채널 (0) | 2018.01.19 |
컴퓨터활용능력_중앙처리장치,ROM,RAM (0) | 2018.01.17 |